논문제출 안내
논문 제목 접수
- 접수 마감 : 2022년
4월 25일(월)5월 2일(월) 자정까지 연장 - 학술대회 홈페이지(http://conf.kiee.or.kr)에서 접수
- 타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논문은 발표할 수 없음
-
Oral Session 발표는 교수 또는 연구소/산업체 전문가가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
- 단, 부득이하게 대학원생(박사과정 또는 석사과정)이 발표할 경우 지도교수가 발표장에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합니다.
다만, 지도교수가 해외 출장 등 부득이한 이유로 참석할 수 없는 경우라면, 미리 학회에 알린 후 대학원생이 발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겠습니다. - Oral session 구성을 하는 과정에서, 구두발표 신청 논문이 과다하거나, 특정 분야 혹은 같은 대학 연구실 등의 논문이 과다한 경우에는, 구두발표로 신청한 논문을 포스터발표로 변경할 수 있음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- 단, 부득이하게 대학원생(박사과정 또는 석사과정)이 발표할 경우 지도교수가 발표장에 의무적으로 참석해야 합니다.
논문(원문) 접수
- 접수 마감 : 2022년
5월 23일(월)5월 30일(월) 자정까지 연장 - 논문양식을 다운 받아 작성하신 후 학회 학술대회 홈페이지(http://conf.kiee.or.kr)에서 접수
- 논문 분량은 A4 Size 2페이지 이내로 작성
-
주의사항 :
1. 제목 제출 후 논문 미제출 시, 학술대회 미발표시에는 하계학술대회 논문집과 학회 전자도서관에 미제출, 미발표 논문임을 명기함- 예시 : 논문제목과 저자(공동저자 포함)를 표기하고 하단에 “본 논문은 미 제출된 논문임”과 제출논문앞장에 “학술대회 미발표 논문임”으로 표기함
※ 논문접수는 대한전기학회 연회비 납부한 회원에 한하여 제출 가능합니다.
※ 미납회원은 연회비 납부 후 제출 하시기 바랍니다.
학술발표 분야
부문/부회 | 발표분야 | |
---|---|---|
A |
전력기술부문 |
전력계통, 송배전설비, 전력경제, 마이크로그리드, 전력계통보호 및 자동화, 수력양수발전, 전기저장장치(ESS) |
B |
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 시스템부문 |
전기기기, 전력전자, 전기교통신기술, 신재생에너지시스템, 초전도기기, E-모빌리티 |
C |
전기물성∙응용부문 |
전기재료, 스마트 대전력 및 고전압 기술, 광전자 및 전자파, 전력IoT/센서, 전력 Asset & Risk Management |
D |
정보 및 제어부문 |
제어계측, 로보틱스 및 자동화, 컴퓨터지능 및 지능시스템, 자율이동체 정보처리, 의용시스템 |
E |
전기설비부문 |
설계감리, 시공기술, 안전기술, 배전설비진단, 기술기준, 전기철도, LVDC설비, 전기설비 융·복합 |
I |
산업전기응용부회 |
기술교육, 산업 및 시스템 응용, 정보화, 신기술 |
기타 |
학회 본부 |
무선전력전송, 스마트그리드, 전기자동차, 발전, EMTP |
S-Session (학부생발표) |
대학원생이 아닌 학부생들만 발표(졸업논문 또는 연구논문/구두발표 불가) |
시상 및 특전 사항
국회 및 산업통상자원부
-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상
- 산업통상자원부 표창
- 산업통상자원부 우수논문상
기관 우수논문상
- 한국전력공사 사장상
- 한국전기연구원 원장상
-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상
- 전력거래소 이사장상
- 한국남동발전 사장장
- 한국남부발전 사장상
- 한국동서발전 사장상
- 한국서부발전 사장상
- 한국중부발전 사장상
- 한국전력기술 사장상
-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상
- LS ELECTRIC 사장상
-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사장상
- 효성중공업 사장상